높고, 건조하며, 관광객 몰리는 히말라야의 도시화
- Dr. Mahesh Kumar Gaur
- 2024년 8월 15일
- 6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11월 15일
과학자들, 인도 레(Leh)시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녹' 이니셔티브를 제안하다

©Nilanjan Sasmal/Flickr (CC BY-NC-SA 2.0)
'고갯길의 땅', '작은 티베트' 또는 '마지막 샹그릴라(Shangri-la)'로 알려진 라다크는 인도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으로, 북쪽의 쿤룬(Kunlun) 산맥과 남쪽의 히말라야 산맥 사이에 있다(그림 1).
라다크는 연합 영토(인도 연방정부 직할지)로서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인 레로 유명하다.
해발 3000미터(9800피트) 고도에 자리한 이 험준한 풍경은 수세기 동안 여행자, 모험가, 학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마헤쉬 쿠마르 가우르
실제로 이 지역은 지난 10년간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관광 수입은 늘어났지만 상수도, 위생, 도로, 농업 등 지역사회의 문제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지속 가능성이라는 개념이 가장 중요하다. 관광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환경에 해를 끼치고 지역사회를 교란할 수 있는 양날의 검과도 같다.
생태 연구를 위한 '관심 지역'
라다크의 추운 사막 환경을 방문하는 주된 이유는 혹독한 환경과 적은 강우량, 낮은 습도에 적응해 온 취약한 생태계 때문이다. 동식물은 생존을 위해 적응해 왔기 때문에 라다크는 생태 연구와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핫스폿이 되었다(가우르 외 224b).
노간주나무, 야생 장미, 산자나무, 고산 꽃 등 다양한 식물종이 토양을 안정시키고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판공초(Pangong Tso)와 초모리리(Tso Moriri)를 포함한 이 지역의 고산지대 호수는 빙하와 눈이 녹아 만들어진 호수이다. 이 호수들은 여러 조류종의 중요한 번식처를 제공하고, 이 지역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며, 지역사회와 야생동물에게 중요한 물 공급원 역할을 한다.

©Mahesh Kumar Gaur
라다크의 문화유산과 야외 활동
라다크의 또 다른 매력은 풍부한 문화 역사이다. 전 세계에서 온 방문객들은 독특한 티베트 불교 문화, 아름다운 풍경, 모험의 기회가 어우러진 이곳에 매료된다. 라다크의 유산은 고대 실크로드상의 위치와 수세기 동안 이어진 티베트와의 관계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 지역에는 곳곳에 티크시(Thiksey), 헤미스(Hemis), 디스킷(Diskit)과 같은 곰파가 있는데, 불교 예배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티베트 예술, 건축, 필사본의 보고이기도 하다.

©Mahesh Kumar Gaur
라다크는 모험 애호가들의 성지이다. 험준한 지형 덕분에 트레킹, 등산, 강 래프팅, 모터바이크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동차 도로 중 하나인 카르둥 라(Khardung La) 고개와 고난도 래프팅 루트로 유명한 잔스카르(Zanskar) 강은 모험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최고의 명소 중 하나이다. 눈 덮인 봉우리, 깊은 계곡, 광활한 평원 등 라다크의 풍경은 사진 작가와 자연 애호가들에게 천국과도 같은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판공초와 초모리리 호수의 시간대별 색채 변화와 레 인근의 자석(도깨비) 언덕 현상은 이 지역의 매력을 더한다.
또한 라다크 사람들의 따뜻한 환대, 헤미스 축제와 라다크 축제 등 다채로운 축제, 툭파(thukpa)·모모(momos)·등 전통요리와 버터차, 파슈미나(Pashmina) 목도리와 청록색 장신구 등 활발한 수공예품은 관광객의 문화적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해준다.

©Mahesh Kumar Gaur
라다크 관광의 급증
레(Leh) 지구는 주도 레 시 외에 113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관광객들이 머물고 있다. 라다크는 1974년 관광객에게 처음 문을 연 이후 연간 400~500명에 불과하던 방문객 수가 2022년에는 80만 명이라는 기록적인 수치로 급증했다(그림 2).

©Mahesh Kumar Gaur
이러한 관광객의 급증은 레와 주변 지역의 수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를 심화시켰다. 물 부족으로 인해 농장과 전통적인 생계 수단을 포기하고 다른 마을이나 도시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방문객들은 환영하지만 지역 물 공급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인도농업연구협의회(ICAR) 산하 중앙건조지대연구소(CAZRI, 카즈리)의 라제시 고얄(Rajesh K. Goyal) 박사와 같은 연구자들은 최대 수용 인원을 받으려면 매일 250만~350만 리터(약 66만~80만 갤런)의 물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추정한다(Goyal 외, 2023년; Goyal 외, 2024년).
카즈리(CAZRI)의 라제시 고얄 박사와 같은 연구자들은 최대 수용 인원을 받으려면 매일 250만~300만 리터(약 66만~80만 갤런)의 물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추정한다.

©Mahesh Kumar Gaur
레 주민들은 오랫동안 빙하가 녹은 물과 샘물에 의존해 식수를 공급받아 왔다. 하지만 이제 성수기에는 물 부족에 직면하고 있으며, 현지 호텔과 게스트하우스는 규제되지 않은 지하수 추출에 의존하고 있다.
샘물이 마르면서 관광객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매일 수천 대의 물탱크를 사용해야 했다.
라다크의 도시화
레 지역의 건설 속도는 두 배 이상 빨라졌다. 데이터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17년까지 9400개의 건물이 새로 건설되었는데, 이는 1969년부터 2003년까지 건설된 건물 수와 거의 같은 수치이다.
데이터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17년까지 9400개의 건물이 새로 건설되었는데, 이는 1969년부터 2003년까지 건설된 건물 수와 거의 같은 수치이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환경센터의 율리아네 다머(Juliane Dame) 박사와 동료들에 따르면 1969년과 2017년 사이에 건물 면적이 36헥타르(89에이커)에서 196헥타르(484에이커)로 5배가량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건설 활동으로 인해 일부 농지가 잠식되어 농지 손실률이 1969년 1%에서 2017년 8%로 증가했다.
CAZRI의 마헤시 쿠마르 가우르 박사에 따르면 도시 확장은 도시 주변의 불모지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레의 도시 개발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a) 도시 지역 불모지로 확장 (b) 도시 지역 농경지로 확장 (c) 기성 시가지의 밀집화라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마헤쉬 쿠마르 가우르
라다크 생태 개발 그룹은 2018년 최대 물 공급 용량이 하루 7.5MLD(750만 리터)였지만, 2022년에는 물 공급을 12MLD로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고얄과 가우르 박사는 2030년에는 18MLD에 달하는 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고얄 외, 2023; 고얄 외, 2024).
고얄과 가우르 박사는 2030년에는 1800만 리터에 달하는 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물의 38%가량이 낭비되는 누수 문제 속에서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라다크의 환경을 고려한 경영 계획
라다크의 지도자들은 책임감 있는 관광을 장려하고, 취약한 생태계를 보전하며, 지속 가능한 생계를 통해 지역사회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국립도시연구소(the National Institute of Urban Affairs) 및 남아시아시장글로벌규약(Global Covenant of Mayors South Asia)과 협력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주요 목표로 하는 ‘레 기후행동계획(the Leh Climate Action Plan)’이 출범했다. 여기에는 에너지 효율성 향상, 대중교통 개선, 물 부족 및 폐기물 관리 관련 문제 해결 등이 포함된다. 2021년에 인도 화력발전공사(NTPC Limited)는 5대의 수소버스를 배치하고 친환경 수소 생산 장치와 함께 태양광 발전소를 설립하는 프로젝트를 도입했다.
히말라야 팜스테이는 현지 마을의 농장에서 숙박하며 진정한 라다크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체험에는 투어, 농사 활동, 경관 즐기며 걷기에 참여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 농장은 화학 비료를 사용하는 대신 건식 화장실에서 나오는 분뇨를 활용하는데, 이는 환경 친화적이지만 수익성은 낮다. 라다크 히말라야대안연구소(the Himalayan Institute of Alternatives, Ladakh)의 지상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마니시 아들라카(Manish Adlakha)는 이러한 접근법의 낮은 수익성은 관광을 통해 상쇄할 수 있다고 말한다.
라다크의 물 부족을 감안하여, Drs. Gaur와 Goyal은 Blue-Green Infrastructure(BGI)을 구현할 것을 권고합니다. 이 모델은 도시 경관 전체에 걸쳐 물, 폐수, 빙하 융해수, 폭우수에 대한 포괄적인 계획, 수집 및 규제를 요구하면서, 도시에 기후 변화와 극한 기상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을 제공합니다.
라다크의 물 부족 상황을 고려할 때, 가우르와 고얄 박사는 ‘청·녹’ 인프라(BGI)를 구현할 것을 권장한다. 이 모델은 도시 경관 전반에 걸쳐 물, 폐수, 빙하 녹은 물, 빗물을 종합적으로 계획, 수집, 규제하는 동시에 도시가 기후 변화와 극한 기상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을 갖추도록 요구한다.
이 개념은 또한 도시 지역의 수역과 녹지 공간을 통합하는데, 여기서 '청(파랑)'은 강, 호수, 습지와 같은 수역을 나타내고 '녹(초록)'은 공원, 정원, 초목을 포함한다. (가우르와 고얄 2024).
가우르와 고얄 박사는 또한 녹색 거리와 녹색 지붕과 같은 '초록' 요소를 도입하여 유출수에서 오염 물질을 걸러내고, 공원과 습지를 조성하여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며, 도시 식생을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들은 도시 확장과 침범으로 인해 사라진 레의 전통 수로를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가우르와 고얄 2024).
지방 행정부는 잘 지반 미션(JJM, Har Ghar Jal: 모든 가정에 수돗물을)을 통해 버려진 마을을 되살리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JJM의 데이터에 따르면 4만808가구 중 3만8242가구(93.71%)에 수돗물이 공급되었다.
지방 행정부는 JJM을 통해 버려진 마을을 되살리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JJM의 데이터에 따르면 4만808가구 중 3만8242가구(93.71%)에 수돗물이 공급되었다. 또한 240개 마을 중 235개 마을(97.92%)에 마을 차원의 수자원위생위원회가 설립되어 ‘청·녹’ 이니셔티브에 따른 농촌 상수도 공급 구상의 실천을 강화했다.
라다크 정부는 현재 고형 및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를 위한 정책 초안을 작성하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는 농촌개발부가 폐기물 관리를 감독하며, 고형자원 관리센터가 20여 개 마을에 설치되어 폐기물 수거와 분류를 담당하고 있다. 암릿 다로하르 계획(Amrit Dharohar Scheme)은 향후 3년 동안 습지의 최적 활용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야생생물보호국은 ‘세계자연기금 인도본부(WWF-인도)’와 협업하여 초모리리-초카르(Tsomoriri-Tsokar) 습지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세부 관리 계획을 마련했다. 지방 당국은 도시 녹지공간을 보존하고 매력 있고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라다크의 생태적 다양성, 문화적 풍요로움, 관광 잠재력은 라다크를 정말 놀라운 여행지로 만들어 주고 있다. 하지만 미래 세대가 이 고산지대의 자연과 문화적 보물을 계속 감상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관광 개발과 보존 노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마헤시 쿠마르 가우르 박사는 인도 조드푸르(Jodhpur)에 위치한 CAZRI의 수석 과학자이며, 현재 레(인도연방 직할지 라다크의 주도) 지방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다.
참조:
Gaur, Mahesh K. 2024. Land Use Changes,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Food Security in Cold Arid ecosystem of Ladakh, India. (In press) Springer, Switzerland.
———, R.K. Goyal, M.S. Kanwar, and V. Chaudhary. 2024a. Geoinformatics Applications in Land Resources Mapping and Management in Leh District (India). In: P. Santra et. al (Eds), Book of Abstract for Conference on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Challenged Agro-Ecosystem. Arid Zone Research Association of India (Jodhpur, Rajasthan), pp 151.
Goyal, R.K., M.K. Gaur, and M.S. Kanwar. September 4, 2023. “Looming Water Crisis in Ladakh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The Earth News.
———, M.K. Gaur, and M. Singh. 2024. Water resources of cold arid region of Ladakh: Present status, problems and management strategies. In: P. Santra et. al (Eds), Book of Abstract for Conference on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Challenged Agro-Ecosystem. Arid Zone Research Association of India (Jodhpur, Rajasthan), p 33
Comentarios